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고양이사료 성분과 고르는 방법 알아보기
    고양이 2023. 4. 9. 09:00

    안녕하세요 개밥파는 냥이맘 입니다

    고양이 2마리를 키우며 늘 사료는 가장 큰 고민 중의 하나입니다.

    그럼, 오늘은 고양이 사료 고르는 방법과 고양이 사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 사료 고르는 방법, 고양이사료추천


    고양이 사료의 종류

    고양이 사료는 크게 건식사료와 습식사료로 나뉩니다.

     

    건식사료는 무게에 비해 칼로리와 영양분이 더 많이 들어있으며 습식사료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또한 씹는 과정을 통해 치석 제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습식사료의 경우, 수분이 많기 때문에 수분량을 일정 부분 채워줄 수 있고 기호성이 건식사료보다 훨씬 좋습니다. 또한 부피에 비해 칼로리가 낮아서 다이어트 고양이에게 적합합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비싼 것이 단점입니다.

     

    그 외 헤어볼, 당뇨병, 요로 장애를 겪는 반려묘를 위한 별도의 처방식도 있습니다. 처방식의 경우 수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후 급여하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고양이사료는 단백질과 동물성 영양소가 중요합니다.

    강아지와 다르게 고양이는 단백질의 함량이 매우 중요 합니다.

    각종 기관이 정상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단백질과 지방을 섭취해주어야 합니다.

    고양이는 식물성 카로틴을 비타민 A로 전환하지 못하고 오로지 동물의 내장육을 통해서만 섭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양이는 동물세포에만 들어있는 아라키돈산이라는 지방을 꼭 섭취해주어야 하며 생선, 조개 등에 들어 있는 아미노산인 타우린도 다량 섭취해야 합니다.

     

    고양이 사료 하루 급여량

    일반적인 성묘(생후 12개월 이상)는 몸무게 1KG당 캔 사료 60G 또는 건식사료 20G을 주는 것이 적합합니다. 하지만 사료마다 열량과 함유된 성분들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꼭 사료 포장지 뒷면에 있는 하루 권장량을 확인하고 급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과체중이나 저체중일 경우에는 건강 상태에 따라 사료의 양을 조절해 주어야 합니다.

     

    알맞은 사료 선택법, 고양이 사료 추천

    일반적인 추천들보다 내 고양이에게 맞는 사료를 고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귀찮기 마련입니다. 저 또한 2마리의 고양이들의 건강을 위해 아래 내용들을 이해하고 사료를 골라서 급여 중입니다. 다행히도 아직 2마리 모두 건강하답니다.

    사료 먹는 고양이


    사료는 영양학적 기능과 성분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특히 수입 사료의 경우에는 AAFCO 라는 미국 사료 검사관협회에서 검증받은 사료를 추천해 드립니다.

    AAFCO는 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의 약어로 반려동물의 건강에 필요한 모든 필수 영양소를 제공함을 인증하는 마크입니다. 법적인 효력을 가진 것은 아니나 미국에서는 저명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어 나름 인지도 있는 기준입니다.


    사료 성분표를 보면 어떤 재료로 만들어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분표는 무게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성분이 가장 먼저 표기 됩니다. 일반적으로 한두 개의 육류 성분이 성분표의 가장 위쪽 혹은 최소한 상위에는 있는 사료를 고르길 추천해 드립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고양이에게 단백질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조단백질과 조지방, 조섬유질 같은 중요한 성분이 전체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성묘용 사료는 최소한 단백질 26%, 지방 9%를 함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키튼(새끼고양이)거나 임신 또는 수유 중인 고양이 사료는 단백질이 30% 이상 들어 있는 것을 추천합니다.



    오늘도 포스팅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의 반려동물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길 바랍니다

Designed by Tistory.